함께 알아가는 금융

cma통장

통2 2021. 4. 13. 19:25
반응형

 

CMA통장

CMA 통장이란 무엇인지,

장단점, 종류, 금리와 수수료

그리고 세금은 얼마나 내는지

총정리해보려합니다.

1. CMA 통장의 장점과 단점

CMA 통장(Cash Management Account)은

금융투자사(증권사, 종금사)의 입출금 통장입니다.

은행의 입출금 통장에 비해 좋은 점은

금리가 10배 정도 높고, 이자를

매일 지급한다는 것입니다.

 

연 1% 수준이긴 합니다만

체크카드 쓰는 것보다

조금이라도 이자를 더 받으니 낫습니다.

 

은행은 대출로 이자를 만들어주는 반면,

금융투자사는 투자로 이자를 만들어줍니다.

 

CMA 금리가 은행 금리보다 높고,

내 돈으로 투자를 한다니까

손실이 날 수도 있는 거 아닌가?

하실 수 있지만 실제로 은행 예금은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5,000만 원까지

보호받는 것에 비해

원금 보장이 되지 않습니다.

(종금사의 종금형 CMA는 원금 보장됨) ​

원금 보장이 되지 않으니

수익률도 보장되지 않겠죠?

그렇지만 CMA 통장에 넣은 돈은

안전한 곳(정부, 은행 채권 등)에

투자하기 때문에 은행의 대출 사업보다도

더 안전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수익률이 은행 이자보다는 높지만

다른 투자에 비해 로우리턴이니

로우리스크 투자인 것이죠. ​

 

실제로 예전에 동양증권이 파산했을 때도

CMA 고객들의 돈은 안전했다고 합니다. ​

 

그렇지만 아무리 안전한 투자도

100%는 없으니​ CMA의 수익률(금리)이

확정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은

알고 사용해야겠습니다.

2. CMA의 종류

CMA의 종류는 어떤 투자처에

투자하느냐에 따라

MMF형

MMW형(WRAP형)

발행어음형(종금형)

RP형

이렇게 4가지가 있습니다.

 

MMF형은 단기금융상

(Call Loan, 기업어음/CP, 양도성예금증서/CD 등)에

투자한다고 합니다.

CP에 투자한다고 하니

동양증권 사태가 생각나기도 해서

조금 투자가 꺼려지긴 합니다. ​

 

MMW형(WRAP형)은 한국증권금융이라는

곳의 예수금 등에 투자한다고 합니다. ​

 

발행어음형(종금형)은 종합금융회사의

자기발행어음에 투자한다고 합니다.

이 상품도 증권사가 파산하면

원금까지 돌려받지 못할 위험이 있으니

조금 불안합니다. ​

 

RP형은 국채, 우량채, 은행채 등

우량채권에 환매조건부채권(RP) 형식으로

투자한다고 합니다. ​

모두 비교적 안전한 곳에 투자하는구나

하면서 대략적으로만 이해하면 좋겠습니다.

3. 증권사/종금사별 금리 비교 및 CMA 추천

어디서 가입하든 대략적으로

1% 내외임을 알 수 있습니다. ​

그렇지만 가뜩이나 수익률이 보장되지 않는데,

수익률을 공개하지 않고 '실적배당'이나

'별도문의'라고 쓴 곳은 미심쩍습니다.

 

​어차피 금리는 거기서 거기니까

각자 상황에 맞는 CMA 계좌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4. 세금

CMA 수익률에 붙는 세금은

특별하게 비과세 대상자가 아닌 이상

일반 이자소득세와 마찬가지로

수익률의 15.4%입니다. ​

 

마무리

이상으로 CMA 통장에 관한

전반적인 것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증권사 계좌를 만들 때

원금 보장은 되지 않아도

거의 원금 보장이 되는 수준으로

안전한 상품이라는 것을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봤자 수익률이 연 1% 수준이니

보통 적금 대신 주식을 하는 이유처럼

안전하고 확실하게 스스로

주식 투자를 하는 것이 나은 것 같습니다. ​

 

그래도 주식이나 금 투자를 하다가

현금 보유를 하는 타이밍에

잠시 CMA에 넣어 두면

조금이라도 수익이 나니

좋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